'숏폼 신설' 논란, 카톡이 '메신저'냐 'SNS'냐 정체성 혼란! > 카카오톡

본문 바로가기
사이트 내 전체검색

카카오톡

'숏폼 신설' 논란, 카톡이 '메신저'냐 'SNS'냐 정체성 혼란!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-10-21 13:24

본문

카카오톡의 '숏폼 신설' 논란은 '메신저'냐 'SNS'냐 하는 정체성 혼란의 핵심적인 사례입니다. 사용자분들께서는 메신저 본연의 기능을 원하지만, 새로운 기능들이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해 서비스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 것입니다.


'숏폼 신설' 논란, 카톡이 '메신저'냐 'SNS'냐 정체성 혼란!

2025년 9월, 카카오톡의 대규모 개편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목표 아래 '숏폼' 기능을 신설했습니다. 하지만 이 기능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"카톡이 '메신저'냐 'SNS'냐 정체성 혼란이 온다!"는 거센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.  메신저 본연의 기능을 기대하던 사용자들에게 숏폼 콘텐츠의 등장은 앱 사용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습니다.

1. '숏폼 신설' 논란의 배경: 메신저의 SNS화

카카오톡의 '숏폼 신설'은 인스타그램의 '릴스'나 틱톡과 유사한 '숏폼 비디오' 기능을 카카오톡 안에 탑재하려는 시도였습니다.

  • '펑' 기능의 도입: 사용자의 일상을 짧은 영상이나 사진으로 공유하는 '펑' 기능이 '친구 탭' 상단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되었습니다. 이는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열었을 때 메시지를 확인하기 전, 또는 친구들의 프로필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숏폼 콘텐츠에 노출되도록 유도했습니다.
  • 체류 시간 연장 및 광고 수익 목표: 카카오 측은 숏폼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의 앱 체류 시간을 늘리고, 이를 기반으로 광고 수익을 확대하려는 비즈니스 모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.

2. "메신저냐 SNS냐" 정체성 혼란을 가중시킨 이유

사용자들이 '숏폼 신설'에 대해 '정체성 혼란'을 느끼고 불만을 표출한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메신저 본연의 가치 훼손: 카카오톡은 '국민 메신저'로서 빠르고 간결하게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구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. 하지만 숏폼 콘텐츠의 등장은 메신저의 핵심 목적인 '대화'보다 '콘텐츠 탐색 및 소비'에 더 집중하게 만들면서 메신저 본연의 가치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. 
  • 불필요한 기능 추가: 많은 사용자들은 카카오톡에 이미 충분히 많은 기능이 존재한다고 느끼고 있었습니다. 여기에 숏폼 기능까지 추가되면서 앱이 너무 '무거워지고' '복잡해졌다'는 불만을 토로했습니다. 사용자들은 "카톡은 카톡다웠을 때가 좋았다"며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기를 요구했습니다.
  • 사용자 경험(UX) 저해: 숏폼 콘텐츠가 의도치 않은 위치에 전면 배치되면서, 메신저 사용의 기본적인 흐름과 익숙함을 방해했습니다. 채팅방 진입 전 숏폼에 노출되거나, 친구 탭에서 친구를 찾기보다 숏폼 콘텐츠에 시선을 빼앗기는 등의 경험이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했습니다. 
  • 광고 증가에 대한 반감: 숏폼 콘텐츠와 함께 광고 노출이 증가할 것에 대한 우려도 컸습니다. 사용자들은 카카오톡이 수익성 강화를 위해 무리하게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광고를 늘리려 한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습니다. 
  • 프라이버시 및 정보 피로도: 친구들이 올리는 숏폼 콘텐츠나 업데이트 내역이 강조되면서, 원치 않는 정보로 인한 피로도 증가 및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제기되었습니다.

3. 카카오의 대응 및 시사점

'숏폼 신설' 논란과 함께 사용자들의 거센 불만이 터져 나오자, 카카오는 논란이 된 '친구 탭'의 피드형 UI를 철회하고 숏폼 기능의 강제 노출 방식도 완화하는 등 일부 기능들을 '원상 복구'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이는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용한 결과입니다. 


카카오톡 '숏폼 신설' 논란은 '메신저'로서의 본연의 가치와 'SNS'로의 확장 시도 사이에서 겪는 **카카오톡의 '정체성 혼란'**을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. 사용자들은 카카오톡에 '편리하고 간결한 소통'이라는 분명한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, 이러한 기대를 벗어나는 무리한 기능 추가는 오히려 사용자 경험을 해치고 서비스에 대한 불신을 키울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습니다. 앞으로 카카오톡이 사용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, 메신저의 본질을 지키면서도 어떻게 혁신을 이뤄나갈지 그 행보가 주목됩니다.


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

작크와콩나무
대표:이강복 등록번호:129-30-34337 개인정보관리책임자:이경영

Copyright © https://roboman.co.kr/ All rights reserved.